https://www.clien.net/service/board/lecture/15587467
구 클리앙 자료이긴 한데요.
원글 작성하신 분께서 순서대로 아주 잘 정리해놓으셔서 도움이 됐습니다.
이분께서는 윈도우 사용자 기준이라 중간에 putty를 이용합니다.
그부분만 맥 터미널에서 접속해서 하시면 나머지 과정은 모두 공통입니다.
#SSH 키 추가
강좌를 따라가시다보면 SSH 키를 생성하는 부분이 있습니다.
여기서 맥유저는 SSH 키 쌍 생성을 선택한 채로
공용 키, 전용 키를 둘 다 저장하면 됩니다.
그리고 putty 대신 터미널에서 전용 키의 권한을 변경하시고 ssh 명령어로 접속하시면 됩니다.
sudo chmod 600 <저장한 전용 키>
ssh -i <저장한 전용 키>ubuntu@<ip주소>
(괄호는 빼고 전용 키 위치와 ip를 입력하시면 됩니다)
#나머지
나머지는 거의 공통 과정이구요.
저는 최종적으로 wireguard를 사용했습니다.
아웃라인이나 v2ray를 사용하지 않으시는 분은 wireguard 부분 설정만 하셔도 되구요.
잘 모르겠다 싶으시면 분은 모든 과정 그대로 하시고 wireguard만 사용하셔도 됩니다.